치솟는 물가지수 예상치 (미시간대 설문조사)




1년물가지수예상 설문조사
18일 6.7%
25일 6.5% ✅


5년물가지수예상 설문조사
18일 4.4%
25일 4.4% ✅


미시간대 소비자 심리 예상
18일 47.1
25일 47.3 ✅
실질 물가지수는 괜찮아보인다


2020년 코로나 이후 처음으로 월별 물가지수가 마이너스




정당 지지에 따른 경제 심리 - 공화당/민주당 양극화

미국 대통령 당선 후 첫 1분기동안의 지지율 - 평균 59%, 트럼프 1기 41%, 2기 45%

연준 의장 신뢰도 2001 - 2025
https://news.gallup.com/poll/659534/trump-first-quarter-approval-rating-below-average.aspx
주요 인물 발언:
- 블랙록 CEO: 이번 시장 침체에서 체계적인 위험을 보지 못한다. 우리는 어떤 고객으로부터 항복을 본적이 없다. 경기침체에 매우 가깝거나 이미 경기침체에 있다. (4월 11일)
- 모건스텐리 CEO: 인플레이션과 무역 정책의 안정이 앞으로 어떻게 될지 불확실하다. (4월 11일)
- 연준 무살렘: 저는 경제, 은행 시스템, 자본 시장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있습니다. 관세가 시행되면 물가지수 상승 위험을 초래합니다. (4월 11일) 기본 전망은 경기침체가 아니지만, 신뢰도 하락, 가격 상승, 가계 자산 타격은 성장 둔화를 시사한다. (4월 9일)
- 연준 윌리엄스: 올해 실업률 4.5~5.0% 사이로 상승할 것으로 본다, GDP 성장률은 1% 로 상당히 둔화될 것으로 예상한다. 올해 물가지수 예상치는 3.5~4.0% 로 전망한다. (4월 11일)
- 아마존 CEO: 가격을 낮추기 위해 모든 노력을 하고 있다. 판매자들이 소비자들에게 가격을 전가할 것 같다. 관세로 인한 의미 있는 영향 아직 보지 못했다. (4월 10일)
- 케빈 하셋 경제 고문: 진행하고 있는 합의가 있는데, 정말, 정말 잘 진척되었습니다. “약 15개국”이 “명시적인 제안을 했고, 이를 연구하고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에게 제시하기에 충분히 좋은지 여부를 결정하고 있다.” (4월 10일)
- 연준 슈미드: 올해 초와 비교했을 때, 인플레이션 상승, 고용 감소, 성장 저하의 위험이 현저히 증가했습니다. 미국 재무부 채권 공급이 늘어나고 수요도 잠재적으로 줄어들면서 장기적으로 금리가 상승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물가지수에 계속 집중할 것이다. 관세가 물가지수에 일시적인 영향을 줄것이라는거에 많은 위안을 얻지 마라.
- JPMorgan CEO: 경기 침체에 대한 이야기가 들리네요. 오랫동안 예상하지 못했던 신용 문제가 더 많아질 것으로 예상합니다. 채무 불이행이 발생하지 않았지만 예상합니다. 아마도 경기 침체가 올 가능성이 큽니다. (4월 9일)